https://www.youtube.com/watch?v=DTEiENYVR14 문제 소개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 -HELLO word -정답: hello Word # 배열, for, if 이 문제의 핵심은 각 문자마다 정수 값들이 존재하는데 그 문자가 어떤 값인지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a' ~ 'z' = 97 - 122 'A' ~ 'Z' = 65 - 90 따라서 소문자와 대문자의 값 차이는 32 이므로 만약에 소문자인 경우 -32 대문자인경우 + 32를 해주면 되겠습니다. 출력
https://www.youtube.com/watch?v=8Xh2Zgap9hs&list=PLVoihNyHW4xkm_KJ8_N8X7F6EQP4uSRyR&index=5 문제 소개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시오 -25 -정답: 11001 -19 -정답: 10011 #배열, 반복문 글쓴이는 유튜브 영상과 다른 풀이로 풀어보았습니다. 출력
https://www.youtube.com/watch?v=C-HElAETJVo&list=PLVoihNyHW4xkm_KJ8_N8X7F6EQP4uSRyR&index=4 문제소개 - 1부터 10까지의 숫자 배열로 이루어진 배열 중 가장 많이 출현할 수를 출력하기 - 1 2 2 3 1 4 2 2 4 3 5 3 2 - 정답: 2(5회) #배열, for 사용하기 주석처리 부분에 설명을 하긴 하였으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시다면 상단에 유튜브 참고 및 댓글 남겨주세요! 출력
https://www.youtube.com/watch?v=WpzjpKt0lbc&list=PLVoihNyHW4xkm_KJ8_N8X7F6EQP4uSRyR&index=3 수학에서, 피보나치 수(영어: Fibonacci numbers)는 첫째 및 둘째 항이 1이며 그 뒤의 모든 항은 바로 앞 두 항의 합인 수열이다. 처음 여섯 항은 각각 1, 1, 2, 3, 5, 8이다. 편의상 0번째 항을 0으로 두기도 한다. 피보나치 수 는 다음과 같은 초기값 및 점화식으로 정의되는 수열이다.F_{1}=F_{2}=1 F_{n}=F_{n-1}+F_{n-2} 0번째 항부터 시작할 경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_{0}=0 F_{1}=1 F_{n}=F_{n-1}+F_{n-2} 피보나치 수의 처음 몇 항은 (0번째 항부터 시작할 ..
https://www.youtube.com/watch?v=w023dXv03nk&list=PLVoihNyHW4xkm_KJ8_N8X7F6EQP4uSRyR&index=2 문제 소개 - 학생 정보들을 저장하고, 학생이름으로 검색을 하였을 때 학번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작성 - Student 클래스 생성 - 변수로는 String 타입으로 이름과 학번을 가짐 -학생들을 ArrayList에 저장한 이후, 계속 검색을 하려면 y, 종료하고 싶으면 n -학생 이름이 있는 경우 그 학생의 학번을 출력 -학생 이름이 없으면, 없는 학생이름이라고 출력 *추가* 그 객체를 담을 Student형의 Arraylist를 생성 반복문과 조건문을 적절히 섞어서 y를 누르면 계속 진행하고, n을 누르면 종료하는 프로그램을 생성 문자열의 비..
1. 정수 두개를 입력 받아서 두수의 합을 구하는 식을 작성하시오. 힌트) Scanner로 정수 두개 입력받기 답)
연산자는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볼 수있는 덧셈, 뺄셈과 같은 사칙연산을 의미합니다. 연산자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피연산자가 필요합니다. 피연산자는 연산의 대상을 의미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덧셈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숫자 두개가 필요합니다. 여기에서 숫자 두 개를 피연산자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여기에서 피연산자는 무엇일까요??? 바로 y와 숫자 2입니다.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연산을 수행하고 나면 항상 결과값을 반환합니다. 다음의 결과 값은 무엇일까요? 답은 바로 10입니다. 지금까지 산술연산자를 간단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지금부터는 연산자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연산자의 종류 위에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한 종류의 연산자가 있지만 지금 시기에는 크게 산술, 관계, 논리, 대입정도만..
지금까지는 화면에 출력만 해왔는데, 이제 화면으로부터 입력받는 방법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입력받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오늘 배울 것은 Scanner입니다. 화면에 출력을 하는 것보다 직접 코드를 짜는 본인이 입력을 하여 출력하는 것이 더 흥미를 느낄 수 있다고 생각을 해서 다소 어려운 내용이라고 생각이 될지라도 앞부분에 넣어 소개를 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Scann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import java.util.Scanner 를 입력해줍니다. 입력해주는 이유는 Scanner클래스를 사용하기위해 추가해주는 것 입니다. 그 다음엔 Scanner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해주는 것입니다. 다소 생소한 단어들이 나와서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처음에는 공식이라 생각하고 외워두는 것도 하나의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