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소개
컴퓨터가 램덤은로 가위, 바위, 보 중에서 하나를 내고
유저는 직접 가위, 바위, 보를 입력해서 결과를 추출해내는 문제
종료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종료
-입력: 가위
-정답: 유저: 가위
컴퓨터: 보
결과: 이겼습니다.
유저: 보
컴퓨터: 보
결과: 비겼습니다.
유저: 종료

코드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진위형으로 is_prime을 선언해주었습니다. while문의 종료 조건으로 설정하기 위함입니다.
nextLine()으로 유저가 가위, 바위, 보 중에 입력을 하고
com이라는 변수에는 random()를 사용하여 임의의 숫자 1 - 3을 제시하였습니다.
그 후에 switch ~ case 문을 사용하여 1이면 가위, 2이면 바위, 3이면 보를 출력하게끔 하였습니다.

이제 if문을 활용하여 종료를 입력하면 while문이 종료가 될 수 있게 is_prime 변수를 false로 바꿔주고
만약 종료가 아니라면 가위인지 바위인지 보인지 확인을 한 후 com 변수에 들어가 있는 숫자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결괄르 출력하게끔 하였습니다.
문자열의 비교를 단순 == 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는 객체가 같은지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객체가 가지고 있는 내용물을 확인하는 수단이 절대로 아닙니다
따라서 equals()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비교해준 모습입니다.
<전체 화면>

결과

문제소개
컴퓨터가 램덤은로 가위, 바위, 보 중에서 하나를 내고
유저는 직접 가위, 바위, 보를 입력해서 결과를 추출해내는 문제
종료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종료
-입력: 가위
-정답: 유저: 가위
컴퓨터: 보
결과: 이겼습니다.
유저: 보
컴퓨터: 보
결과: 비겼습니다.
유저: 종료

코드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진위형으로 is_prime을 선언해주었습니다. while문의 종료 조건으로 설정하기 위함입니다.
nextLine()으로 유저가 가위, 바위, 보 중에 입력을 하고
com이라는 변수에는 random()를 사용하여 임의의 숫자 1 - 3을 제시하였습니다.
그 후에 switch ~ case 문을 사용하여 1이면 가위, 2이면 바위, 3이면 보를 출력하게끔 하였습니다.

이제 if문을 활용하여 종료를 입력하면 while문이 종료가 될 수 있게 is_prime 변수를 false로 바꿔주고
만약 종료가 아니라면 가위인지 바위인지 보인지 확인을 한 후 com 변수에 들어가 있는 숫자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결괄르 출력하게끔 하였습니다.
문자열의 비교를 단순 == 을 사용하면 안됩니다.
==는 객체가 같은지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객체가 가지고 있는 내용물을 확인하는 수단이 절대로 아닙니다
따라서 equals()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비교해준 모습입니다.
<전체 화면>

결과
